리액트를 공부하면서 매번 찾아보게 되는 것이 몇가지 있다. 정리해서 적어본다.
1. 리액트에서 왜 key를 써야하지?
"리액트는 뷰에 변화가 있을 때, 구 가상 DOM과 새 가상 DOM을 비교하여 변경된 내용만 DOM에 적용한다." 이게 핵심 포인트이다. 반복문을 돌렸을 때, 같은 key를 가지고 있으면 리액트는 변화가 없다 판단하고, 업데이트를 하지 않는다. 만약에 key를 인덱스로 사용하면, 항목 순서가 바뀔 때 마다 key도 같이 변경된다. 업데이트로 인해, 변화가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key를 고유한 값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자.
참고: 재조정과 key 사용 이유
2. 타입스크립트의 제네릭을 사용하는 방법
제네릭은 타입을 사용자에게 맡기고 코드를 작성할 때 선언할 수 있게 해준다. 함수에서 동작은 같지만, 리턴 받아야하는 타입이 다른 경우에 유용한데 아직 어렵다.
const output: <T>(input: T) => T = (input) => { return input }
console.log(output<boolean>(true)) // true
참고: 인터페이스와 제네릭
3. MSW를 사용한 모킹을 쉽게 하는 방법
실제 API 주소를 호출하면 중간에 모킹서버가 이 호출을 가로채 자기의 MOCK 데이터를 내려주는 방법이다.
이 방법은 실제 따라하기를 하면, service 에 http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도록 미들웨어를 만들고, 호출할 수 있게 세팅을 해주면 된다.
response 타입을 지정할 때 2번의 제네릭을 활용하면, 더 깔끔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.
참고:
4. 라디오 셀렉트 박스를 만들 때, 스타일만으로도 가능할까?
onClick: (e: MouseEvent) => {
setTimeout(() => {
if (e.defaultPrevented) return;
state.setSelectedValue(props.value);
}, 0);
},
5. 폼을 만드는 이유
"form"은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테이너이고, "input"은 사용자로부터 실제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요소라 서로 다른 역할을 한다.
참고:
6. 테스트는 어떻게 시작하지?
유저 이벤트 테스트를 하는 방법부터 시작을 해볼까한다. 위에 폼 만드는 방법으로 양식을 입력받고 userEvent를 발생시켜 동작시켜본다.
테스트를 설정하는데 가장 힘든건 i18n을 적용했을 때가 아닐까, 다국어를 표현하기 위한건데 어떻게 테스트를 하지?라고 막막했지만 값을 비교하는게 아니라 호출하는 그 변수명을 그대로 string 으로 비교하는 것이었다. 그런데 이건 까다롭게도 jest에서 사용하려면 설정을 해줘야한다.
아래는 TDD 테스트를 할 때, 미리 써두면 좋은 템플릿이다.
// given
const props = {}
// when
render()
// then
expect().toBe()
참고:
7. Yarn Berry란?
yarn berry는 당황할 수 밖에 없었다. node_modules 폴더는 온데간데 없고, .yarn/cache 폴더가 생기고 그로 인해 파생되는 몇가지 설정들이 여간 복잡한게 아니었다.
참고:
8. 시멘틱 마크업은 매번 헷갈리는데 외울까?
header/aside/main(article/section)/footer
9. 객체를 타입으로 변환하는 방법은?
참고:
10. useState props에 타입스크립트 타입을 지정하는 방법
// element event 사용할 때
import {ChangeEvent} from "react"
interface ComponentProps {
onChange: (e: ChangeEvent<HTMLInputElement>) => void
}
// useState props 사용할 때
import {Dispatch} from "react"
interface ComponentProps {
setState: Dispatch<boolean>
}